elasticsearch는 오픈 소스 검색 엔진의 절대 강자이며 비교적 간단한 설치와 운영 방법으로 인해 제대로된 검색 기능을 구현할 때 반드시 검토해봐야할 솔루션이다.
간단한 서비스는 테스트를 위해서 Synology NAS의 docker 기능을 이용해서 elasticsearch와 그것을 손쉽게 운영할 수 있는 UI툴로서 kibana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Synology에서 정상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가 붙은 고급형 모델을 사용하는게 좋고 메모리도 최소 8GB이상으로 확장이 필요하다. 본인은 DS920+ 모델에 12GB로 메모리 확장한 기기에서 테스트를 수행했다.
설치 방법
테스트 결과 elasticsearch 8의 synology docker에서 경우 제대로 작동이 안되는 경우가 있어서 여기에서는 elasticsearch 7에 대한 설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함
먼저 Synology Docker 프로그램을 열어서 레지스트리 메뉴에서 다음 2개의 이미지를 설치한다.
- elasticsearch:7.17.13 (7 버전 중 가장 높은 버전)
- kibana:7.17.9

설치를 하고나서 이미지 메뉴로 가면 아래와 같이 2개의 설치 이미지가 확인된다.

(1) elasticsearch 도커 설정
이미지 메뉴에서 elasticsearch를 선택해서 실행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설정 화면이 나온다. 고급 설정 버튼을 눌러 각 탭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포트 설정: 아래와 같이 2개 포트를 추가한다.

- 환경: 아래와 같이 1개의 항목을 추가한다. (discovery.type : single-node)

그리고나서 위의 적용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컨테이너 메뉴에 실행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만약 처음 실행할 때 에러가 발생하면 실행이 중지되는데 이런 경우는 위의 세부사항 버튼을 눌러서 아래 화면에서의 로그를 확인하면 된다.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었다면 웹브라우저에서 다음 URL로 간단히 확인이 가능하다.
http://<NAS IP>:9200

(2) kibana 도커 설정
elasticsearch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편리한 UI툴인 kibana도 설치가 필요하다. 같은 방법으로 이미지 메뉴에서 kibana를 실행해서 다음과 같은 항목의 셋팅이 필요하다.
- 포트 설정: 아래와 같이 1개의 포트를 설정한다.

- 링크: 아래와 같이 1개의 컨테이너를 설정한다. (반드시 위의 elasticsearch 컨테이너 등록이 먼저 되어 있어야함)

나머지는 디폴트 설정으로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웹브라우저로 아래 URL로 접속하면 kibana 화면을 볼 수 있다.
http://<NAS IP>:5601

분석 테스트
설치가 완료되면 kibana로 간단한 테스트를 수행해 볼 수 있다.
elasticsearch에 대한 기본적인 사용법에 대해서는 다음 튜토리얼 사이트를 추천한다.
https://esbook.kimjmin.net/
(1) Analyzer 테스트
kibana 메인화면의 우측 하단에 있는 Dev Tools를 눌러서 개발용 입력 화면 들어간다.

그 다음 아래와 같이 analyze 예제 쿼리를 입력하고 오른쪽에 나타나는 실행 아이콘(▶)을 누르면 우측 결과창에 response 내용이 나타날것이다.
GET _analyze
{
"text":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analyzer": "snowball"
}
